동천역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천역 (대구)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 있는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13년 10월 2일에 역명이 결정되었으며,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동천동 행정복지센터, 구수산도서관, 여러 학교 및 아파트 단지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칠성시장역
칠성시장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칠성시장 내에 위치하며 역명은 인근 칠성시장에서 유래되었고, 칠성시장 활성화를 위해 칠성역에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동천역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동천역 |
한자 표기 | 東川驛 |
로마자 표기 | Dongcheon yeok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역 번호 | 315 |
운영 주체 | 대구교통공사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2015년 4월 23일 |
비고 | 역명판 이미지: Dongcheon Station 20150424 130618.jpg 승강장 이미지: Dongcheon Station 20150424 130639.jpg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칠곡경대병원역 기점 2.3km |
이전 역 | 팔거역 |
다음 역 | 칠곡운암역 |
역간 거리 | 팔거역: 0.7km 칠곡운암역: 0.8km |
2.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2.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팔거 · 학정 · 칠곡경대병원 방면 |
---|---|---|
하행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운암 · 구암 · 용지 방면 |
3. 역사
4. 역 주변
5. 승차량 변동
wikitext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3호선 | 1,916 | 2,025 | - | [1] |
6. 사진
7. 인접한 역
(칠곡경대병원 방면)
(용지 방면)